보청기관련

부인의 예비 보청기선물에 눈시울을 붉히는 남성 보청기고객

청력박사 2009. 1. 22. 17:13

1948년생인 남성고객분(409)이 보청기재활1차과정을 위해 본 한미보청기를 방문하였습니다.

000고객은 뇌종양수술을 받았으며 좌측에는 중이염수술을 받았으며 청각장애5급입니다.

좌측은 4채널기능의 고막형보청기를 사용하며 우측은 전농으로 보청기사용이 되지 않습니다.

그동안 1개의 보청기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번에 수리를 위해 4일을 보청기없이 사용하게되어

부인이 남편을 위해 예비보청기를 같이 신청하여 오늘 보청기소리조절을 위해 방문한 것입니다.

본 한미보청기를 방문할때까지 새로운 보청기를 했다는 사실을 모르던 남편이

부인이 남편을 위해 예비용 보청기를 선물로 준비한 사실을 알고는 눈시울이 붉어졌습니다.

이러한 부부의 감동스러운 모습을 옆에서 지켜보는 저도 마음이 따뜻해졌습니다.

보청기없이는 일상생활이 제대로되지 않는 경우일때 잠시라도 보청기가 없는 경우에

답답해하는 보청기사용고객을 많이 접하게되어 가능하면 사전에 보청기의 작동상태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도록 정기적인 방문으로 보청기점검 및 청소를 통하여 보청기의 고장을

줄이고 수명을 연장하여 불편함없이 오래동안 사용하도록 사후관리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

"맑고 좋은소리" 인터넷 다음카페를 운영하고 있는

한미보청기에서는 보청기 재활 서비스 제도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보청기 재활 서비스 제도란?

보청기를 사용하는 회원분이나 가족분중에 보청기 구입후 보청기점에서

체계적인 사후관리서비스를 제공받아 불편없이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여러가지 이유(?)로 보청기 사용에 불편사항이 있어도 참고 사용하고 있거나

보청기사용을 포기하고 보관중인 회원분이나 가족분도 의외로 많이 있음을

보청기 상담과정에서 알게되어 보청기 재활 서비스 제도를 실시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보청기 소비자가격은 보청기 구입후 수명이 다할때까지의

보청기사후관리비용이 포함되어 있음으로 보청기구입점이 아닌 곳에서의

체계적인 보청기사후관리를 받기가 보청기점이나 고객의 입장에서 한계가 있습니다.

이러한 현실상의 한계를 해결하고자 보청기 재활 서비스 제도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보청기 재활 서비스 제도 어떻게 운영하나요?

-한미보청기를 방문하면 먼저 보청기소리조절을 위한 관련검사 및 상담을 실시합니다.

-검사자료를 토대로 음감테스트 및 개인별 음감 특성을 파악합니다.

-관련검사 결과에 따라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하여 설명드립니다.

-보청기 재활 서비스의 기간 및 서비스비용에 대하여 상호 협의하여 결정합니다.

-결정된 사항에 대하여 계약서를 작성하고 보청기 재활 서비스를 실시합니다.

 

보청기 재활 서비스 제도를 이용하면 어떤점이 좋은가요?

-현재 본인의 청각상태 및 보청기에 대한 정보를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현재 사용중인 보청기에 대하여 문제점 파악 및 불편한 점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사용하지 않고있는 보청기를 재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도움이됩니다.

-현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파악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이행합니다.

 

보청기 재활 서비스 제도를 이용하면 비용이 어떻게 되나요?

-본인의 청각상태 및 보청기에 대한 문제점 분석에 대한 비용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보청기의 소비자 가격을 기준으로 보청기 재활 서비스 비용을 산출합니다.(산출표에 의거)

  즉,보청기의 소리조절기능에 따라 비용이 달라지며 1회,5회,10회,보청기수명 만료일까지로

  고객분이 선택하여 보청기 재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보청기 상담에 1시간이상 소요됨으로 사전에 예약하시기 바랍니다.

======================================================================

한양대병원 이비인후과 박철원 교수는 최근 한양대 HIT빌딩 6층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2008 서울청각센터 국제 보청기 심포지엄'에서 인사말을 통해

"우리나라 보청기 착용 인구는 7만여 명인데

이 중 40% 가량이 고가의 보청기를 사고도 실제 착용에 실패하고 있으며,

55%는 구매 후 사후 관리를 받은 사실이 없는 것으로 조사돼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