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1년생인 남성고객분(1929)이 보청기점검 및 청소차 본 한미보청기를 방문하였습니다.
000고객은 선천성난청으로 대학병원에서 신경성난청으로 진단받았으며 중학교때부터
단순증폭방식의 귀걸이형보청기 및 고막형보청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오늘 본 한미보청기를 방문한 목적은 1994년도에 구입한 단순증폭방식의 고막형보청기의
점검 및 청소와 건전지 구입을 위하여 방문하였다고하였습니다.
본 한미보청기의 경우 보청기사후관리를 위해서는 보청기구입여부에 상관없이
기본적으로 청각상태에 대한 관련검사를 실시하여 현재 사용하고 있는 보청기의
적절성여부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관련교육을 실시하여야 사후관리를 제공하고 있는관계로
000고객에게 보청기사후관리를 위한 관련검사를 권유하였으나 보청기 및 청각에 대한
본인나름대로의 인식으로 관련검사를 거부하여 약1시간 가량을 재설명과정을 통하여
어느정도 저의 생각과 공감하게되어 다음에 사전예약후 관련검사를 진행하기로하였습니다.
난청으로 불편하여 보청기를 사용하기전에 주위에서 불편한 문제로 보청기를 제대로
사용하지 않고 있거나 포기한 경우를 접하게되는 경우와 본인 스스로 본인의 청각상태에
적절하지 않는 기능의 보청기를 사용하거나 보청기상담사의 업무능력부족으로
보청기사용고객의 불편한 점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거나 바른 정보를 제공하지 않은 경우
위의 경우와 같이 보청기고객 스스로의 생각으로 판단하게 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우리나라도 공인화된 보청기관련제도가 도입되어야하고
보청기기기가격과 보청기사후관리에 대한 비용이 분리되어 적용되어 보청기구입후에도
보청기소비자가 보청기상담사를 부담없이 재선택할 수 있도록 개선된다면
고가의 보청기를 구입하고 사용하지 않고 안타까운 경우는 줄어들 것입니다.
===============================================================================
"맑고 좋은소리" 인터넷 다음카페를 운영하고 있는
한미보청기에서는 보청기 재활 서비스 제도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보청기 재활 서비스 제도란?
보청기를 사용하는 회원분이나 가족분중에 보청기 구입후 보청기점에서
체계적인 사후관리서비스를 제공받아 불편없이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여러가지 이유(?)로 보청기 사용에 불편사항이 있어도 참고 사용하고 있거나
보청기사용을 포기하고 보관중인 회원분이나 가족분도 의외로 많이 있음을
보청기 상담과정에서 알게되어 보청기 재활 서비스 제도를 실시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보청기 소비자가격은 보청기 구입후 수명이 다할때까지의
보청기사후관리비용이 포함되어 있음으로 보청기구입점이 아닌 곳에서의
체계적인 보청기사후관리를 받기가 보청기점이나 고객의 입장에서 한계가 있습니다.
이러한 현실상의 한계를 해결하고자 보청기 재활 서비스 제도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보청기 재활 서비스 제도 어떻게 운영하나요?
-한미보청기를 방문하면 먼저 보청기소리조절을 위한 관련검사 및 상담을 실시합니다.
-검사자료를 토대로 음감테스트 및 개인별 음감 특성을 파악합니다.
-관련검사 결과에 따라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하여 설명드립니다.
-보청기 재활 서비스의 기간 및 서비스비용에 대하여 상호 협의하여 결정합니다.
-결정된 사항에 대하여 계약서를 작성하고 보청기 재활 서비스를 실시합니다.
보청기 재활 서비스 제도를 이용하면 어떤점이 좋은가요?
-현재 본인의 청각상태 및 보청기에 대한 정보를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현재 사용중인 보청기에 대하여 문제점 파악 및 불편한 점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사용하지 않고있는 보청기를 재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도움이됩니다.
-현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파악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이행합니다.
보청기 재활 서비스 제도를 이용하면 비용이 어떻게 되나요?
-본인의 청각상태 및 보청기에 대한 문제점 분석에 대한 비용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보청기의 소비자 가격을 기준으로 보청기 재활 서비스 비용을 산출합니다.(산출표에 의거)
즉,보청기의 소리조절기능에 따라 비용이 달라지며 1회,5회,10회,보청기수명 만료일까지로
고객분이 선택하여 보청기 재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보청기 상담에 1시간이상 소요됨으로 사전에 예약하시기 바랍니다.
======================================================================
한양대병원 이비인후과 박철원 교수는 최근 한양대 HIT빌딩 6층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2008 서울청각센터 국제 보청기 심포지엄'에서 인사말을 통해
"우리나라 보청기 착용 인구는 7만여 명인데
이 중 40% 가량이 고가의 보청기를 사고도 실제 착용에 실패하고 있으며,
55%는 구매 후 사후 관리를 받은 사실이 없는 것으로 조사돼 있다"고 말했다.
'보청기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인의 예비 보청기선물에 눈시울을 붉히는 남성 보청기고객 (0) | 2009.01.22 |
---|---|
보청기용 건전지의 사용시간 차이로 방문한 여성 보청기고객 (0) | 2009.01.22 |
보청기는 지정된 장소에 지정된 보관통에 보관하세요(보청기분실) (0) | 2009.01.21 |
고막형보청기를 양쪽으로 착용한 사진 (0) | 2009.01.21 |
보청기 수리건에 대하여 수리이력으로 설명하는 자료 (0) | 2009.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