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청기관련

보청기의 matrix선정은 중요한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청력박사 2009. 1. 7. 18:25

1995년생인 여성고객분이 어머니와 함께 보청기상담차 본 한미보청기를 방문하였습니다.

000고객은 광주광역시에 살고 있는데 딸이 보청기를 착용하고도 제대로 듣지 못함에

인터넷 검색으로 본 한미보청기를 알게되어 전화상담 후 방문한 고객입니다.

000고객의 어머님에 따르면 2살때 말을하지 않아 난청인줄 알았으며 대학병원에서

진료한 결과 감각신경성난청으로 진단받았으며 4살때부터 단순증폭방식의 귀걸이형보청기를

서울에 방문하여 착용하다 2007년도에 컴퓨터로 조절되는 현재의 보청기를  좌측에

14채널기능의 귓속형보청기를, 우측에는 2채널기능의 소형귀걸이형보청기를 추천받아

사용하고 있으나 작은소리를 잘듣지 못하고 우측에는 보청기를 착용해도 효과가 없다고

딸이 보청기를 착용하지 않고 보관만 하고 있다고 하였습니다.

 

보청기재활서비스계약을 위한 순음청각검사결과는 아래표와 같습니다.(dB HL)

 

 125

250 

500 

750 

1k 

1.5k 

2k 

3k 

4k 

6k 

8k 

3분법평균 

 좌측

60 

55 

70 

75 

75 

75 

65 

60 

60 

60 

50 

70 

 우측

120 

120 

120 

120 

120 

X

X

느낌 

 

 

 좌측

 우측

 양쪽

 비고

 SRT

 90

 측정않됨

 

 

 MCL

 100

 측정안됨

 

 

 UCL

 110

 느낌

 

 

 보청기예상효율

 40%

 0%

 

 

차폐검사 

 

 

 

보청기재활서비스계약을 위한 관련검사 및 음감테스트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우측 보청기는 청각상태에 비하여 증폭이득이 부족한 상태이며 청각상태에 비하여

보청기의 효율성이 실효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좌측 보청기의 경우

현재 보청기를 성능분석기로 확인한 결과 소리조절되어있는 matrix가 107/31로되어 있어

음감테스트상으로는  matrix가 105/46이상은 되어야 작은소리를 듣는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함께 지켜본 어머님께서도 현재의 보청기사용에 문제점에 대하여 공감하고

거리가 멀지만 보청기상담과정이나 딸의 보청기에 대한 반응을 보고 본 한미보청기에서

보청기재활과정을 받기를 희망하여 4채널기능의 귓속형보청기로 보청기를 제작하여

2개월간의 착용기간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matrix를 결정하여 귓속형보청기나

귀걸이형보청기에서 결정하기로 하였습니다.

현재 중학생이며 이동거리가 있어 좌측귀에 4채널기능의 귓속형보청기를 2개로하여

보청기재활과정을 진행하기로 하였으나 한편으로 마음이 편하지 않았습니다.

000고객의 사례에서 보듯이 보청기의 기능이 많다고 더 잘듣고 좋은 것은 아닙니다.

보청기사용자의 청각상태에 적절한 기능과 필요한 증폭의 출력이 전제되어야하며

이렇게 선정된 보청기에 대하여 보청기상담사가 보청기재할과정을 진행해야 하는 것입니다.

어려운 형편인데도 자식을 위해 2007년도에 구입한 소비자 가격기준 630만원의 보청기가

기능부족의 문제가 아닌 출력부족의 문제라는 사실을 알게된 부모의 마음을 어떻게

보상해야 할 것이며 보청기에 대한 불신감을 보청기재활과정에서 신뢰감으로 변화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중압감이 느껴지는 보청기 상담이었습니다.

==========================================================================

"맑고 좋은소리" 인터넷 다음카페를 운영하고 있는

한미보청기에서는 보청기 재활 서비스 제도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보청기 재활 서비스 제도란?

보청기를 사용하는 회원분이나 가족분중에 보청기 구입후 보청기점에서

체계적인 사후관리서비스를 제공받아 불편없이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여러가지 이유(?)로 보청기 사용에 불편사항이 있어도 참고 사용하고 있거나

보청기사용을 포기하고 보관중인 회원분이나 가족분도 의외로 많이 있음을

보청기 상담과정에서 알게되어 보청기 재활 서비스 제도를 실시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보청기 소비자가격은 보청기 구입후 수명이 다할때까지의

보청기사후관리비용이 포함되어 있음으로 보청기구입점이 아닌 곳에서의

체계적인 보청기사후관리를 받기가 보청기점이나 고객의 입장에서 한계가 있습니다.

이러한 현실상의 한계를 해결하고자 보청기 재활 서비스 제도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보청기 재활 서비스 제도 어떻게 운영하나요?

-한미보청기를 방문하면 먼저 보청기소리조절을 위한 관련검사 및 상담을 실시합니다.

-검사자료를 토대로 음감테스트 및 개인별 음감 특성을 파악합니다.

-관련검사 결과에 따라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하여 설명드립니다.

-보청기 재활 서비스의 기간 및 서비스비용에 대하여 상호 협의하여 결정합니다.

-결정된 사항에 대하여 계약서를 작성하고 보청기 재활 서비스를 실시합니다.

 

보청기 재활 서비스 제도를 이용하면 어떤점이 좋은가요?

-현재 본인의 청각상태 및 보청기에 대한 정보를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현재 사용중인 보청기에 대하여 문제점 파악 및 불편한 점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사용하지 않고있는 보청기를 재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도움이됩니다.

-현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파악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이행합니다.

 

보청기 재활 서비스 제도를 이용하면 비용이 어떻게 되나요?

-본인의 청각상태 및 보청기에 대한 문제점 분석에 대한 비용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보청기의 소비자 가격을 기준으로 보청기 재활 서비스 비용을 산출합니다.(산출표에 의거)

  즉,보청기의 소리조절기능에 따라 비용이 달라지며 1회,5회,10회,보청기수명 만료일까지로

  고객분이 선택하여 보청기 재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보청기 상담에 1시간이상 소요됨으로 사전에 예약하시기 바랍니다.

======================================================================

한양대병원 이비인후과 박철원 교수는 최근 한양대 HIT빌딩 6층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2008 서울청각센터 국제 보청기 심포지엄'에서 인사말을 통해

"우리나라 보청기 착용 인구는 7만여 명인데

이 중 40% 가량이 고가의 보청기를 사고도 실제 착용에 실패하고 있으며,

55%는 구매 후 사후 관리를 받은 사실이 없는 것으로 조사돼 있다"고 말했다.

  

 

'보청기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청기 청소 전과 후   (0) 2009.01.09
보청기 청소 전과 후   (0) 2009.01.09
보청기청소의 중요성(MIC)   (0) 2009.01.07
보청기 청소 관련 사진  (0) 2009.01.07
보청기청소의 중요성(REC,MIC)  (0) 2009.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