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난청 아동의 특징

청력박사 2006. 4. 8. 17:02


1)의사 소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
 
 a.청력 손실의 시기

  :아동이 언어 발달 시기 혹은 언어 습득 전에

    청력을 손실 되었는지를 발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b.청력 손실의 정도

 :30dB이하→대부분은 자음을 인지하지만 약간의 왜곡된 말을 함.
  35-55dB→언어 발달이 다소 늦을 수 있으며 질문을 부분적으로

               이해하지 못하고 몇몇 자음의 대치나 왜곡이 나타남.
  70-80dB→긴 문장에서 몇 개의 낱말만 이해하게 되고

               소리 변별이 어려워 독화 와 함께 의사 소통하는 경우가 많음.
  90-80dB→전문적인 치료나 교육을 통해 언어 습득함.
c.청력손실의 향상

 :전음성인지 감각신경성인지에 따라 분별력에 차이가 있다.
d.환경

 :난청 부모를 가진 난청 아동의 자아도가 정상 부모를 가진

  난청 아동의 자아도에 비해 높다.

 
2)언어 적인 특성
a.같은 또래들 보다 어휘력이 떨어진다.
b.대부분의 아동들을 명사 위주의 문장으로 대화를 하고

  단순 하고 짧은 문장 구조를 갖고 있다.
c.음절과 낱말이 부적절하게 묶여지는 것을 볼 수 있고

  의미 전달의 어려움을 갖는다.
d.난청아동의 목소리는 높낮이의 변화가 적고 비 정상적이다.
e.모음의 중성화가 나타난다.
f.자음에 과도한 비음이나 과소한 비음.
g.유성음과 무성음의 혼동


 
3)심리 및 행동적 특징
난청아동들은 청각 자극이 없으므로 이야기 할 때

과도한 긴장을 만들어 말을 자연스럽게 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난청 아동은 같은 아동의 같은 연령의 일반 아동에

비해 정서적으로 불 안정하고 자기 중심적이며 충동적이 될 수 있고

혼돈 된 자아개념을 갖고 있을 수 있는 여러가지 인성적인 문제를 갖게 된다.